수학 잘하게 하려면 음악 공부 시켜라
피아노스타 | 2004/08/25◆수학 잘하게 하려면 음악 공부 시켜라◆ 수학을 잘하면 IQ가 높다, 음악을 잘하면 EQ가 높다고 말한다. 그리고 IQ는 좌뇌, EQ는 우뇌에 속하니까 수학과 음악은 서로 전혀 상관이 없을것만 같다. 정말 산수문제를 푸는것과 피아노를 치는것이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하지만 전문가들은 둘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말한다. 음악이 수학을 잘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2000년 6월 24일자 뉴스위크에는 이에 관한 중요한 연구논문이 소개되었다. 미국의 뉴욕 과학 아카데미에서 발표한 연구인데, 대상이된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한주에 한번씩피아노를 배우고 1년후에 수학 시험을 치렀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아이들의 50%가 피아노를 전혀 배우지 않은 5학년생들과 같은 성적을 냈다. 아이들은 피아노를 배우는것만으로 두 학년이나 위의 수학 문제를 척척 풀어낼 수 있었다. 도대체 악기 하나가 수학 능력에 이렇게 큰 영향을 미친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음악과 수학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 다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음악은 우뇌가지배하는섬세한감성의영역에속하지만수학을담당하는좌뇌영역의요소또한갖고있다. 음악의 박자나 음의 높낮이는 대단히 수학적인 규칙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음악을 공부한다는것은 감성을 기르는 동시에 좌뇌영역을 개발하는 활동이 되는 셈이다. 뇌속을 정밀하게 촬영, 분석해보면 이 점을 더 확실하게 알수있다. 7세 이전부터 음악을 해 온 거장들의 뇌에는 '뇌량' 이라는 부위가 일반인들보다 확대 되어 있다. 뇌량은 신경 섬유의 끈으로, 둘로 나누어진 좌우의 뇌를 연결해 주는 부위. 뇌량의 기능이 약하면 한쪽뇌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른편에 효과적으로 전달 해 주지 못하므로 뇌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뇌량이 확대되면 그 만큼 두뇌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음악학습은 이 뇌량을 발달시키는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음악을 전혀하지 않았던 사람들도 피아노를 하루 2시간씩 1주일에 5일간 훈련하면 뇌량부위가 확대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실 음악은 단순히 '감정을 자극하는 어떤소리'로만 여겨서는 곤란하다. 출생직후의 아기가 말이나 숫자를 구분할 수 는 없지만 아름다운 멜로디를 들려주면 좋아하고 불협화음에는 거부반응을 보인다. 음에 대한 감각은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뇌 연구자들은 컴퓨터에 윈도우가 깔려 있는것처럼 뇌에 음악이 깔려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음악공부는 뇌의 기본능력을 활성화시키는 활동이 되는 셈이다. <수학지능을 발달시키는 음악학습법> 1. 피아노치기 수학의 논리적지능을 지배하는 좌뇌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곳이기도 하다. 피아노를 칠 때 손가락을 재빨리 움직이는것은 좌뇌를 훈련 시키는것과 같다. 2. 음률 상상하기 피아노의 거장 루빈스타인은 항상 머리속에서 피아노치는것을 상상하는것만으로 피아노 연습을 마쳤다. 이 같은 상상에 의한 피아노 연습방법은 실제 연습 과거의 비슷한 효과가 있다. 머리속에서 음과 박자를 떠 올리는것으로도 두뇌를 자극할 수 있다. 3. 7세이전에 시작해야 음악이야말로 조기교육이 중요한분야. 전문가들은 음악감수성이 완성되는 시기를 대개 7세 전후로 잡는다. 이후에는 같은 자극에도 두뇌발달 정도는 적다고 봐야 한다.